Haneul's Blog

[스케줄 관리 프로젝트 - 일치(BE)] 프로젝트 패키지 구성에 관한 고민 본문

일정 관리 프로젝트(일치)

[스케줄 관리 프로젝트 - 일치(BE)] 프로젝트 패키지 구성에 관한 고민

haneulss 2023. 3. 21. 01:45

계층별 vs 기능별 프로젝트 구조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계층별로 패키지를 구조를 짤 것인지 기능별로 패키지 구조를 짤 것인지에 대한 고민을 하고 시작하였습니다. 그렇다면 둘 중 하나의 구조를 선택하기에 앞서 두 구조에 대한 이해를 하는 게 우선이라고 생각하여 찾아보았고 이를 뒤늦게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계층별 구조

이전 프로젝트

위의 이미지는 이전의 프로젝트(면접 준비 프로젝트)에서 진행한 패키지 구조인데, 이 구조를 계층별 구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계층별 구조는 한 눈에 패키지의 전체적인 구조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presentation 패키지를 확인하여 어떤 controller가 있고, 어떤 api들이 있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질수록 오히려 패키지 안의 클래스가 많아지면서 프로젝트의 구조를 파악하기가 더 어려워 질 수 있습니다.

기능별 구조

현재 프로젝트

위의 이미지는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의 구조(아직 완성X)로, 이 구조를 기능별 구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능별 구조는 각 기능별로 패키지를 묶고 기능 사이의 불필요한 의존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합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응집도를 높이고 결합도를 낮출 수 있어서 추후 확장에 용이한 패키지 구조입니다.

하지만 계층 구조보다 비교적 프로젝트를 파악하기에는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

그래서 내가 선택한 구조는?

위의 글을 읽으면서 알 수 있다시피 기능별 구조를 선택하였고, 이유는 이전 프로젝트에서 계층별 구조로 해보기도 했고, 확장성면에서 기능별 구조가 더 좋을 것 같다는 판단이 들어서 기능별 구조를 선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