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eul's Blog

[스케줄 관리 프로젝트 - 일치(INFRA)] Jenkins를 활용한 CI/CD(1) - 설치 과정 본문

일정 관리 프로젝트(일치)

[스케줄 관리 프로젝트 - 일치(INFRA)] Jenkins를 활용한 CI/CD(1) - 설치 과정

haneulss 2023. 5. 3. 12:43

CI/CD란?

서비스를 배포하기 위해서는 개발, 테스트, 빌드 등의 여러 과정이 필요합니다.
서비스를 처음 단 한 번만 배포하면 좋겠지만, 실제 개발에서는 여러 오류가 발생하고 이를 fix해서 다시 배포하거나 기능을 추가해서 배포 또는 성능을 개선해서 배포한다던지 등의 여러 문제가 있기 때문에 배포는 여러 번 이루어지게 됩니다.

 

이런 배포를 하는 과정은 단순 반복이기 때문에 약간 귀찮은 감이 없지 않아 있습니다. 이러한 작업에 들어가는 시간을 단축시켜 개발에 투자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CI/CD라고 할 수 있습니다.

CI(Continuous Integration)

CI는 지속적인 통합이라는 의미로, 간단하게 설명하면 빌드, 테스트의 자동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CD(Continuous Delivery / Deployment)

CD는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이라는 의미로, 간단하게 설명하면 배포의 자동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둘의 흐름을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테스트, 빌드 과정인 CI 과정을 거치고, 레포지토리에 자동으로 업로드하는 CD 과정을 거쳐서 배포가 완료됩니다.

CI/CD의 툴(Tool)

대표적으로 Jenkins, Github Actions 등이 있고, 저는 Jenkins를 프로젝트에 적용하였습니다.

왜 Jenkins?

Jenkins는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CI/CD 툴이다보니 여러 자료들이 많고, 문제가 발생했을 때 해결하기 수월하다는 점과 웹 인터페이스 기반이라서 사용이 편리하여 비교적 학습 비용이 덜 든다는 등의 여러 장점들이 있기 때문에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Jenkins 설치과정

1. Swap 메모리 설정

이전에 프로젝트를 했을 때 메모리가 1GB인 ec2를 사용하다 보니 CI/CD 과정에서 서버가 자꾸 죽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스왑 메모리를 설정하여 서버가 죽는 것을 방지해줍니다.

// swap 파일 생성
sudo mkdir /var/spool/swap
sudo touch /var/spool/swap/swapfile
sudo dd if=/dev/zero of=/var/spool/swap/swapfile count=2048000 bs=1024

// swap 파일 설정
sudo chmod 600 /var/spool/swap/swapfile
sudo mkswap /var/spool/swap/swapfile
sudo swapon /var/spool/swap/swapfile

// swap 파일을 등록
sudo vim /etc/fstab

// 위에서 파일이 열리면 맨 밑 줄에 아래의 내용을 입력 후 저장
/var/spool/swap/swapfile    none    swap    defaults    0 0

2. Jenkins 설치(Ubuntu 기준)

// java11 설치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openjdk-11-jdk

// Jenkins 레포의 GPG키 가져오기
wget -q -O - https://pkg.jenkins.io/debian/jenkins.io.key | sudo apt-key add -

// Jenkins 리포지토리를 시스템에 추가
sudo sh -c 'echo deb http://pkg.jenkins.io/debian-stable binary/ > /etc/apt/sources.list.d/jenkins.list'

// Jenkins 설치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jenkins

3. Jenkins 초기 설정

Jenkins의 “주소:8080”으로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뜨고, 비밀번호를 입력하라고 나오는데,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비밀번호를 입력창에 넣어줍니다.

sudo cat /var/lib/jenkins/secrets/initialAdminPassword

비밀번호가 맞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이 곳에서 Plugins 설치해줍니다.
당장은 특정 플러그인이 필요하지 않아 왼쪽의 “Install suggested plugins”로 설치해줍니다.

계정을 만들고 "Save and Continue"를 클릭하여 Jenkins를 시작하면 초기 설정도 완료되었습니다.

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