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BalancedTree
- useMutation
- 블로그 병행
- 카카오 2차 코딩테스트
- mysql
- SQL 실행순서
- B+TREE
- 회고
- jacoco
- N+1
- 주간회고
- ci/cd
- 메서드명
- DeleteAll
- db
- 백기선 스터디
- 프리코스
- 월간회고
- Jenkins
- InnoDB 버퍼 풀
- 어댑티브 해시 인덱스
- 계층별 구조
- Blue-Green
- 기능별 구조
- 멀티쓰레드 프로그래밍
- java
- useQuery
- 우테코
- 도커
- 클래스
- Today
- Total
Haneul's Blog
[2022.10] 첫 월간 회고 본문
활동
- 여러 스터디 활동(CS, 알고리즘, 모각코)
- 1일 1 커밋
- 1일 1 블로깅
- DB 위주의 CS 공부
- 우아한테크코스 프리코스 참여
회고
여러 스터디 활동(CS, 알고리즘, 모각코)
9월달에 혼자 개발 공부를 하면서 나도 모르게 나태해지는 것이 느껴져서 나를 공부라는 바다에 강제로 뛰어들게 하기 위해서 여러 스터디를 참여하였다.
가장 먼저 참여했던 것이 CS 스터디였는데 사실 CS 공부에서는 꾸준히 공부하고 있었지만 혼자 하다보니 약간 모르는 부분이 있어도 넘어가게 되기도 하고 공부를 했더라도 내가 가진 정보를 다른 사람들에게 어떤 식으로 설명해야할지에 대한 소프트 스킬의 부족함을 느껴서 CS 스터디에 참여하게 되었다.
다행히도 이 스터디를 하면서 알고 있던 지식들을 다시 한 번 정립하는 시간이 되기도 했고 부족하다고 느꼈던 소프트 스킬을 약간이나마 보완할 수 있던 시간이라서 좋았다. 특히 제가 원래 말이 빠른 편인데 혼자 녹음해서 들어보기도 하면서 너무 말이 빠르고, 빠르다보니 알아 듣기 힘들다는 것을 알아서 최대한 말을 천천히 하려고 많은 노력을 했던 것 같다. 또 다른 문제도 있지만 일단은 이게 가장 큰 문제인 것 같아 이 부분을 가장 먼저 의식적으로 말하면서 고치고 다음 스텝으로 넘어가려고 하고 있다.
두 번째로 참여 했던 것은 각자 공부 계획을 짜고 디스코드 채널에 모여서 각자 화면을 키고 계획된 시간에 따라 공부하는 스터디를 참여하였다.
나는 하루 8시간 이상의 공부 계획을 짜고 이를 시작하였는데 이 스터디 덕분에 한 달 동안 거의 8시간 혹은 그 이상의 공부를 할 수 있었던 것 같다. 평소에 공부는 환경이 가장 중요하고 그 다음이 노력 그 다음이 재능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물론 상위 몇 퍼센트의 재능 괴물들 제외)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 이 스터디를 참여하였다.
스터디를 참여하면서 나만의 공부 시간 8시간을 채웠더라도 다른 사람들이 남아서 공부하고 있는 모습을 보면 나도 자극을 받아서 10시간 혹은 그 이상도 하게 되는 효과가 있고 다른 사람이 내 화면을 지켜 본다고 생각을 하니 중간 중간에 딴 짓도 안하고 공부에 많이 집중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이 스터디는 정말 많은 도움이 되고 있기 때문에 최대한 오래 참여하려고 생각중이다.
마지막으로 알고리즘 스터디에 참여하게 되었다. 이 스터디는 10월 초부터 시작하였는데, 하루에 한 문제를 풀고 일주일에 두 번 정도 구글 밋으로 만나서 내가 어떻게 풀었고 이런 생각을 가지고 풀었다는 것을 서로 공유하는 스터디이다.
알고리즘 풀이는 나름대로 자신이 있던 상태였지만 다른 사람들은 어떤 생각을 가지고 푸는 지랑 소프트 스킬을 늘리기 위해서 참여한 것이 크다. 대부분 프로그래머스 2~3레벨 이상의 문제 위주로 풀고 있고 2레벨 20퍼 3레벨 80퍼의 비율 정도로 진행하고 있는 것 같다.
이 스터디를 참여하면서 느낀 점은 내가 이전에 풀었던 문제라도 다른 사람들에게 설명할 때는 설명하기 전에 다시 한 번 문제를 보고 생각을 정리하고 말하는 것이 그러지 않는 것과 천차만별이라는 것이고, 이를 느꼈기에 다른 발표나 면접을 볼 때 최대한 많은 준비를 해가야 겠다는 것을 또 한 번 느낄 수 있어서 정말 좋았다.
1일 1커밋
이전에 사실 내가 공부했던 것이라도 굳이 커밋을 해야되나라는 생각에 커밋을 하지 않는 일이 부지기수였다. 하지만 이러한 습관은 다른 사람들이 보기에는 깃허브의 잔디가 비어있으니까 그 기간에는 아예 공부를 안했다는 생각을 가질 수 있게 되어서 아주 나쁜 습관이었다.
그래서 최근에는 무조건 하루에 하나의 커밋이라도 남겨서 공부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려고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강의를 듣고 따라한 코드들을 깃허브에 올려도 되는지를 모르겠어서 일단은 알고리즘을 풀었던 기록 위주만으로 올리고 있고, 강의를 들었거나 책을 읽었던 기록은 내 개인 노션이나 블로그에 정리하려고 하고 있다.
1일 1블로깅
신입 개발자로 취업하기 위해서 블로그를 하는 것이 나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블로그를 꾸준히 써야할 것 같다는 압박감에 시작을 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래도 결국은 시작하게 되었고 기왕 시작한 김에 1일 1블로깅을 하자고 마음 먹었었다. 그렇게 1일 1블로깅을 시작하긴 했지만 가장 큰 문제점이 있었다. 1일 1블로깅을 하려다 보니 글의 내용면에서 퀄리티가 나도 모르게 낮아지고 그냥 하루의 분량을 채우려는데 급급했다는 단점이 있었고, 현재까지도 그렇게 해왔다. 물론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보다는 나을 수도 있지만 깊은 공부와 깊은 이해를 하는 데 있어서 이러한 습관은 정말 안 좋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앞으로는 1일 1블로깅에 집착을 하기보다는 며칠에 걸쳐서 글을 쓰더라도 최대한 깊이 있는 내용을 블로그에 포스팅하려고 한다.
DB 위주의 CS 공부
개발자에게는 모든 CS 지식이 중요하지만 백엔드 개발자에게는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이 DB 지식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게 생각해서 최근에는 DB 위주의 CS 공부를 하고 있고 DB 관련 여러 기초 책을 거쳐서 현재는 약간 어렵다고 느껴지는 RealMySQL 8.0이라는 책을 공부하고 있다.
이 책을 읽어보니 DB가 어떤 식으로 동작하는지와 옵티마이저의 실행계획이나 MySQL의 메모리 구조등의 다른 기초책에서 알 수 없던 내용들을 알 수 있어서 흥미로웠고 앞으로 프로젝트를 할 때 DB 성능을 어떤식으로 개선해 나가야 할지를 약간은 감이 잡힌 것 같다. 그래서 책을 여러 번 읽어서 최대한 내 것으로 만들고 다른 사람들와 이에 대해서 토론할 수 있는 정도의 수준까지 올라가는데 집중해야 겠다.
우아한테크코스 프리코스 참여
평소에 우아한테크코스 과정에 관심이 있었는데 이번에 참여할 기회가 생겨서 참여하게되었다. 4기까지는 자소서 + 코딩테스트로 프리코스에 참여할 인원을 먼저 뽑고 최소한의 인원으로 진행했었는데 이전에 프리코스를 진행했던 사람들이 프리코스의 경험이 좋았다는 피드백이 많아서 최대한 많은 사람들에게 기회를 주고 싶어서 일단 모든 사람들에게 프리코스에 참여할 기회를 주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현재 1주차를 진행하고 있는데 열심히 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아서 나도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내용은 혹시 몰라 자세하게 적지는 못하겠지만 1주차는 알고리즘 문제를 푸는 느낌이 많이 나는 것 같다. 그래서 알고리즘 풀듯이 문제를 해결했지만 최대한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서 기존의 알고리즘 문제 풀이와는 다르게 메서드를 따로 빼는 것이나 메서드명, 변수명을 이해하기 쉽게 짓는 것에 많은 노력을 쏟았다. 그리고 지금은 시간이 남은김에 하나의 클래스에서 모든 것을 해결하려 하지 않고 클래스를 따로 빼서 최대한 객체지향적으로 짜보려고 한다.
다음 달 계획
- 우아한테크코스 프리코스에 몰입하기
- 하고 있던 스터디 꾸준히 참여하기
- 리눅스 공부하기
- CS 공부 꾸준히 하기
- 1일 1커밋 유지
- 1일 1블로깅을 하기 보단 일주일에 하나 올리더라도 더 퀄리티 있는 내용을 블로깅하기
'회고 및 생각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테코 프리코스] 2, 3주차 통합 회고 (0) | 2022.11.18 |
---|---|
[2022-11-07] 주간 회고 (0) | 2022.11.07 |
[생각정리] 개발 공부를 하면서 후회되는 것과 고쳐야 할 것 (0) | 2022.10.23 |
[2022-10-16] 주간회고 (0) | 2022.10.16 |
[2022-10-08] 첫 주간회고 (0) | 2022.10.08 |